삼성전자가 글로벌 전기차 기업 테슬라로부터 약 23조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계약을 따냈다. 그간 수율 문제와 고객사 이탈 등으로 고전해온 삼성 파운드리 사업이 본격적인 반등의 신호탄을 쏘아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글로벌 대형 기업과 22조7647억 원 규모의 반도체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 기간은 지난 24일부터 2033년 12월 31일까지로, 총 8년 5개월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삼성전자 전체 매출(300조8709억원)의 7.6%에 해당하는 규모로, 삼성의 반도체 부문 내 단일 고객사 기준으로도 최대 수주 계약이다.

삼성전자는 계약 상대방과 구체적인 조건은 영업비밀 보호를 이유로 공개하지 않았지만, 같은 날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직접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X)’를 통해 계약 사실을 언급하면서 수주처가 테슬라임이 확인됐다.

머스크는 “삼성의 새로운 대형 텍사스 공장이 테슬라의 차세대 AI6 칩 생산에 전념하게 될 것”이라며 “이 계약의 전략적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말했다. AI6는 테슬라가 자체 개발한 고성능 AI 칩으로, 완전자율주행(FSD)은 물론 휴머노이드 로봇과 슈퍼컴퓨터 등에도 쓰일 예정이다.

생산 일정은 공식화되지 않았지만, 머스크가 앞서 AI5 칩의 양산 시점을 2026년 말로 밝힌 바 있어, AI6 칩은 이보다 이후에 본격 생산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머스크는 현재 삼성전자가 AI4 칩을 생산하고 있으며, AI5는 대만 TSMC가 우선 생산하고 향후 미국 애리조나 공장으로 생산지를 이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165억달러(약 23조원)는 최소 계약액이며, 실제 거래 규모는 이보다 훨씬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이번 대형 수주가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의 체질 개선과 신뢰 회복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성 파운드리 부문은 2022년 이후 수율 저하와 고객사 확보 부진 등으로 적자를 이어오며 ‘만년 적자 사업’이라는 꼬리표를 달아왔다. 시장 점유율 역시 8% 수준에 머물며, 업계 1위인 TSMC(67%)와 격차가 크다.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번 계약 하나만으로 부진이 완전히 해소됐다고 보긴 어렵다”면서도 “AI6 생산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삼성의 공정 안정성과 수율에 대한 글로벌 고객사의 신뢰가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대규모 수주 소식에 주식시장도 반응했다. 이날 삼성전자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6.83% 상승한 7만400원에 마감했다. 종가 기준으로 7만 원대를 회복한 것은 지난해 9월 이후 약 11개월 만이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삼성전자 #테슬라 #파운드리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