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시중 은행 로고


내수 부진과 고금리 장기화로 국내 금융권의 연체율과 부실채권(NPL) 규모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기업과 가계 모두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은행·카드사 전반에 걸쳐 리스크 관리 경고등이 켜졌다.

27일 주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전체 연체율은 평균 0.41%로 전분기(0.34%) 대비 0.07%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기업대출 연체율은 0.40%로, 2017년 1분기(0.51%)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은행별로 보면, KB국민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35%로 전분기 대비 0.06%포인트 상승했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같은 기간 0.40%에서 0.50%로 뛰었다. 신한은행 역시 전체 연체율이 0.27%에서 0.34%로, 중소기업 연체율은 0.49%로 각각 높아졌다.

부실채권도 크게 증가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1분기 말 NPL 총액은 12조615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7.7% 급증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NPL은 1분기에만 1조7440억 원이 늘어나는 등 예년보다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통상 연말에 부실채권이 가장 많고 1분기는 적은데, 올해는 이례적으로 초반부터 급증해 리스크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고 전했다.

가계 부실 역시 심화하고 있다. 1분기 카드사 연체율은 전 카드사에서 상승했으며, 하나카드는 2.15%로 출범(2014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KB국민카드(1.61%)와 신한카드(1.61%)도 각각 10년 내 최고 수준이다. 카드론 평균 금리는 연 14.83%로, 2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특히 자영업자의 재무 건전성이 악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자영업자의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LTI)은 지난해 4분기 말 344.5%로, 7분기 만에 다시 상승 전환했다. 이는 비자영업자(220.0%) 대비 훨씬 높은 수치다.

은행권 대출은 감소했지만 대부업 등 비은행권 차입이 늘어나면서 자영업자의 부채 질도 악화하는 추세다.

금융권 관계자는 “고금리 기조와 대외 불확실성 지속으로 중소기업, 소상공인, 취약 가계의 상환 부담이 당분간 더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5대시중은행 #연체율 #부실채권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