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상청은 올여름도 역대급 폭염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가정마다 전기요금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무더위를 이겨내려는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에어컨을 켰다 껐다 하는 것이 나은지, 아니면 제습 모드로 하루 종일 가동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에 대한 관심도 높다.
전문가들은 에어컨의 제조 연도와 작동 방식부터 확인할 것을 권한다. LG전자에 따르면, 2011년 이전에 출시된 에어컨은 대부분 ‘정속형’으로 실외기가 최대 출력으로만 작동하기 때문에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는 것이 전기료 절감에 도움이 된다. 반면, 2012년 이후 나온 ‘인버터형’ 에어컨은 실내 온도가 유지될 때 실외기가 최소 출력으로만 작동하므로, 계속 켜 두는 편이 더 효율적이다.
냉방모드 대신 제습기능을 활용하려는 소비자도 많지만, 반드시 전기료를 줄여주는 것은 아니다. 에어컨 제습 모드는 실내 습도에 따라 작동 시간이 길어질 수 있어 오히려 일반 냉방보다 전력 소모가 클 수 있다. 전문가들은 습도가 낮은 날에는 제습 모드를, 그렇지 않을 경우엔 절전 모드나 에너지 세이빙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조언한다.
에어컨과 함께 선풍기나 서큘레이터를 활용하는 것도 냉방 효율을 높이고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바람을 천장 쪽으로 향하게 하면 찬 공기가 아래로 자연스럽게 순환되며 전체 공간을 시원하게 만든다.
정부도 에너지 절약형 가전제품을 구매하는 가구에 환급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달 중 시행 예정인 ‘고효율 가전 환급사업’은 에너지 소비효율 3등급 이상 제품을 구매한 경우, 구입금액의 10%(최대 30만원)를 돌려주는 방식이다. 에어컨은 벽걸이형을 제외한 대부분 제품이 대상이다. 본 제도는 산업통상자원부 추경안 통과 후 즉시 시행되며, 예산(3261억원)이 소진되면 조기 종료될 수 있다.
무더위와 전기요금 걱정이 동시에 몰려오는 여름철. 에어컨 사용 방식만 잘 알아도 전기료는 낮추고 체감 온도는 높일 수 있다. 가전제품 교체 시 정부 지원까지 활용한다면 체감 혜택은 더 커질 전망이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전기요금 #에어컨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