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Pexels

올해 1분기 국내 경기 위축으로 인해 소상공인들의 매출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가운데, 특히 술집과 숙박업 등 일부 업종의 매출이 1년 전보다 1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신용데이터(KCD)가 발표한 ‘2025년 1분기 소상공인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소상공인 사업장당 평균 매출은 약 4,179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72% 줄어든 수치이며, 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보다는 12.89% 급감한 수치다.

KCD 측은 “경기 침체와 연말 특수 종료 등 계절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1분기 기준 소상공인 사업장당 평균 지출은 3,153만 원, 지출을 제외한 순이익은 1,026만 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식업 전 업종에서 매출 감소가 확인됐다. 이 가운데 술집은 전년 동기 대비 11.1% 감소하며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고, 분식(-7.7%), 제과점·디저트(-4.9%), 패스트푸드(-4.7%), 카페(-3.2%) 등도 일제히 매출이 줄었다.

서비스업 분야에서는 숙박·여행업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해당 업종의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8% 급감했다.

내수 부진과 대외 여건 악화가 겹치면서 소비 심리 회복도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3.8로 전월 대비 0.4포인트 상승했지만 여전히 기준선인 100을 밑돌며 소비 심리가 비관적임을 나타냈다. 이는 지난해 11월 비상계엄 사태 이전의 100.7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경기 악화 속에 소상공인의 대출 상환 부담도 커지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말 기준 개인사업자 대출이 있는 사업장은 총 361만9,000개로 집계됐다. 이 중 13.8%인 49만9,000개는 국세청에 폐업 신고를 한 상태다. 정상 영업 중인 사업장은 312만1,000개로 86.2%에 달했다.

폐업한 사업장의 평균 대출 잔액은 6,243만 원, 평균 연체액은 640만 원이었다. 전체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은 719조2,000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약 15조 원 증가했다. 연체된 대출 원리금은 13조2,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4조 원 늘어난 수치다.

경기 침체 장기화 속에 소상공인의 부담이 계속 커지는 가운데,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